비정상 백혈구
페이지 정보

본문
비정상 백혈구 (Abnormal leukocytes) (1) 독성과립(Toxic granule)
• 분엽 호중구의 세포질에 거친 흑청색 또는 짙은 자색의 과립
• 폐렴이나 패혈증과 같은 중증의 감염이나 화학물질의 중독 (2) 될소체(Döhle body, Amato bodies)
• 호중구의 세포질내에 청색을 염색되는 직경 2 ㎛ 정도의 불규칙한 봉입체
• 조면소포체가 응집된 것
• 폐렴, 성홍열과 같은 중증의 감염형에서 나타나고 치료되면 사라짐
• 악성종양이나 화학치료요법에서도 많이 발견 (3) 아우어 소체(Auer bodies)
• 골수모세포, 풋뼈속질세포, 단핵모세포와 같은 세포의 세포질내에 적색의 바늘과 같은 봉입체
• 급성골수성백혈병환자 (4) 러셀 소체(Russell bodies)
• 형질구의 세포질내에 청자색에서 필크색의 거품방울
• 방울 안은 무색으로 보이는 봉입체
• 일명 fuchsin body
• 단백질의 변성물로 만성감염질환에서 발견 (5) 알더-레일리 이상(Alder-Rielly anomaly)
• 분엽 과립구의 세포질내에 나타나는 연한 자주색, 혹은 아주르과립이 출현
• 과립백혈구와 단핵구, 림프구에서도 발견
• 유전성 점액다당류(mucopolysaccharide, Gargoylsim) 축척 환자의 백혈구 (6) 메이-헤글린 이상(May-Hegglin anomaly)
• 과립구와 단핵구의 세포질내에 Döhle body와 비슷한 소체
• 더 크고 창백한 푸른색의 봉입체로 RNA와 리보솜
• 거대혈소판이 나타나고 혈소판 수 감소를 동반
• 상동염색체성 우성 유전 질환 (7) 체디악-히가시-스타인브링크 이상(Chediak-Higashi-Steinbrink anomaly)
• 과립구의 세포질내에 gray, green, range 색의 다양한 과립이 출현
• 림프구나 단핵구에서도 비슷한 과립
• 눈피부백색증의 상동염색체 열성 유전질환
• 빈혈과 중성구감소, 혈소판감소를 수반 (8) 펠거-휴에트 이상(Pelger-Hüet anomaly)
• 호중구의 핵 분절이 감소되어 대부분 2분절 내지는 둥근 안경모양의 핵
• 만성골수성백혈병, 급성백혈병, 골수화생, 무과립증, 전염성단핵구증 등에서 출현 (9) 비정형림프구(Atypical lymhocyte)
•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바이러스 감염시 증가 – 튜크 세포(Türk cell), 바이러스 세포(Virocyte), 다우니 세포(Downey cell) 등 • 특히 전염성단핵구증에서 20% 이상 (10) 성염색체(Sex chromatin, Barr body)
• XX 염색체 중에서 어느 1개의 염색체가 불활성화 되어 나타남
• 일명 북채돌기(drum stick)
• 정상여성에서 1~5% (평균 2.5%)정도 발견 (11) 털세포(Hairy cell)
• 털모양세포백혈병(hairy cell leukemia)에서 나타남
• 세포질의 가장자리가 헝클어진 머리털 모양
• 만성림프백혈병(대부분 B-림프구)
• 산성인산분해효소(acid phosphatase, ACP) 염색에 양성 (12) 세자리 세포(Sézary cell)
• 균상식육종(Mycosis fungoides)이나 피부의 만성림프종에서 발견
• 세포의 크기가 크고 핵이 주름이 접힌 듯한 모양을 한 림프구 (13) 엘이 세포(Lupus erythematosus, LE cell)
• 전신성홍반성낭창증(systemic lupus erythematosus, SLE) 환자
• 시험관 내에서 환자혈청속에 들어 있는 LE factor가 노출된 백혈구의 핵과 결합하고 이를 중성구가 포식한 모양 (14) 얼룩세포, 핵파열세포(Smudged cell or basket cell)
• 도말, 염색과정에서 주로 발생
• 만성림프구백혈병에서 세포의 파열이 잘 생겨 자주 출현 (15) 과다분절(Hypersegmentation)
• 핵의 분절이 6개 이상 된 상태 • 악성빈혈에서 호중구에서 많이 나타나며 호산구나 호염기구도 발생
- 다음글여기는 임시 사이트입니다. 22.01.29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